
1. 로봇 조립
1) 로봇 조립하기
- 교재의 조립도를 참고하여 라이플을 조립합니다.
2) 케이블 연결 확인하기
- 라이플을 조종하는 X-키패드 → IN1 포트
- 고무줄 걸개를 움직이는 서보모터 → OUT1 포트
- 왼쪽에 있는 LED 1 → OUT2 포트
- 오른쪽에 있는 LED 2 → OUT3 포트
2. 코드 업로드 & 로봇 동작
로봇을 동작시키려면 로봇에 동작 프로그램(코드)를 업로드해주어야 해요.
방법 1) [코딩 X] 휴대폰으로 프로그램 업로드하기
- 코딩을 하고 싶지 않을 때 XROBO 업로더로 동작 프로그램을 업로드할 수 있어요.
- 안드로이드 폰에서만 앱을 쓸 수 있어요.
방법 2) [코딩 X] 컴퓨터로 XROBO가 제공하는 프로그램 업로드하기
- 코딩을 하고 싶지 않을 때 컴퓨터에서 mBlock으로 동작 프로그램을 업로드할 수 있어요.
- 윈도우(Windows) 컴퓨터에서만 가능해요.
방법 3) [코딩 O] 컴퓨터로 로봇 동작 프로그램 직접 코딩하기
- 직접 코딩하고 싶을 때 컴퓨터에서 mBlock으로 동작 프로그램을 직접 코딩할 수 있어요.
- 윈도우(Windows) 컴퓨터에서만 가능해요.
방법 1) [코딩 X] 휴대폰으로 프로그램 업로드하기
① 앱 설치하기

-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XROBO 업로더 설치
② 휴대폰과 로봇 연결하기
- CPU보드에 다운로드 보드 연결
- 다운로드 보드에 다운로드 케이블 연결
- 다운로드 케이블 반대편에 USB A to C 변환 젠더 연결
- 휴대폰에 남은 한쪽 연결
③ 코드 업로드하기

- eXtreme edition 선택
- X3 선택
- 오른쪽 상단의 연결상태 확인
- 로봇 리스트에서 라이플 선택 (자동으로 업로드 됩니다.)
④ 로봇 동작하기

- ① CPU보드 전원을 켭니다.
- ② CPU보드 전원을 켜고, START 버튼을 짧게 눌렀다가 손을 뗍니다.
- ③ 리모컨 전원을 켜고 로봇을 조종하며 놉니다.
방법 2) [코딩 X] 컴퓨터로 XROBO가 제공하는 프로그램 업로드하기
- 로봇에 X3 전체 동작 프로그램이 이미 업로드된 경우, 바로 ④로봇 동작하기로 넘어가주세요.
① 업로드 준비하기
- mBlock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mBlock을 반드시 설치해주세요.

- 로봇을 동작시키기 위해 다운로드 보드와 다운로드 케이블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 만약 해당 부품이 없다면 구매해주세요.
② 동작 프로그램 다운받아 불러오기

- 동작 프로그램 사용하기 페이지를 참고해서 X3 동작 프로그램을 다운받고, mBlock에 해당 프로그램을 불러와주세요.
③ 코드 업로드하기
- 업로드 방법 페이지나 영상(34초부터)을 참고해서 로봇에 코드를 업로드해주세요.
④ 로봇 동작하기
- ① CPU보드 전원을 켭니다.
- ② START 버튼을 2초 이상 누르다가, '도레미파솔라시도' 멜로디가 나오면 손을 뗍니다.
- ③ START 버튼을 1번 눌러 "도" 음을 선택합니다.
- ④ 리모컨 전원을 켜고 로봇을 조종하며 놉니다.
방법 3) [코딩 O] 컴퓨터로 로봇 동작 프로그램 직접 코딩하기
① 업로드 준비하기
- mBlock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mBlock을 반드시 설치해주세요.

- 로봇을 동작시키기 위해 다운로드 보드와 다운로드 케이블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 만약 해당 부품이 없다면 구매해주세요.
② 코딩하기

- mBlock을 실행시킨 후, 코딩 예제나 교재를 참고해서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코딩해주세요.
③ 코드 업로드하기
- 업로드 방법 페이지나 영상(34초부터)을 참고해서 로봇에 코드를 업로드해주세요.
④ 로봇 동작하기

- ① CPU보드 전원을 켭니다.
- ② CPU보드 전원을 켜고, START 버튼을 짧게 눌렀다가 손을 뗍니다.
- ③ 리모컨 전원을 켜고 로봇을 조종하며 놉니다.
3. 코딩 예제
- 정답을 확인하고 싶을 땐, 이미지를 옆으로 넘겨보세요.
1) 고무줄 걸개 움직이기
고무줄 걸개 내리기
서보모터 각도를 90으로 설정합니다.


서보모터가 OUT1 포트에 연결되어 있으므로, 포트 선택 시 ‘OUT1’을 선택합니다.
고무줄 걸개 올리기
서보모터 각도를 170으로 설정합니다.


2) X-키패드로 고무줄 발사하기
X-키패드 버튼을 눌렀을 때 라이플이 이렇게 움직이게 해봅시다.
- ① 1번 버튼 : 고무줄 걸개 내리기
- ② 2번 버튼 : 고무줄 걸개 올리기


X-키패드가 IN1 포트에 연결되어 있으므로, ‘IN1’을 선택합니다.
X-키패드 1번 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만 고무줄 걸개가 내려가고, 버튼에서 손을 떼면 올라가도록 해봅시다.


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만 로봇을 작동시키고 싶으면 ‘만약-아니면’ 블록을 사용합니다.
3) 고무줄 발사할 때 LED 켜기
X-키패드 버튼을 눌렀을 때 라이플이 이렇게 움직이게 해봅시다.
- ① 1번 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 : LED 켜기
- ② 1번 버튼에서 손을 뗐을 때 : LED 끄기


LED 1과 LED 2가 각각 OUT2, OUT3 포트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‘OUT2’, ‘OUT3’ 포트를 선택합니다.
X-키패드 버튼을 눌렀을 때 라이플이 이렇게 움직이게 해봅시다.
- ① 1번 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 : LED 켜고 고무줄 걸개 내리기
- ② 1번 버튼에서 손을 뗐을 때 : LED 끄고 고무줄 걸개 올리기


4. 로봇 문제 발생 시 해결
1) 전원이 켜지지 않을 때
- 배터리가 올바른 극성으로 삽입되어 있는지(‘+’와 ‘-‘가 맞게 끼워져 있는지) 확인합니다.




- 점퍼캡이 CPU보드 12V 전원 커넥터에 제대로 꽂혀있는지 확인합니다.
- 점퍼캡이 없을 경우, 점퍼캡 대신 3×8 볼트를 12V 전원 커넥터에 연결합니다.


- 배터리 팩 케이블이 단선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.
- 배터리 팩 케이블이 CPU보드 6V 전원 커넥터에 잘 꽂혀있는지 확인합니다.

2) LED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
- 3-PIN 케이블이 정확한 OUT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- 3-PIN 케이블의 검은색 선이 LED 핀 중 하얀 라인이 있는 쪽에 꽂혀있는지 확인합니다.
- 3-PIN 케이블의 검은색 선이 CPU보드 케이스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에 꽂혀있는지 확인합니다.



3) 서보모터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
- 3-PIN 케이블이 정확한 OUT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- 서보모터 케이블의 검은색 선이 CPU보드 케이스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에 꽂혀있는지 확인합니다.


- 조립된 로봇의 서보모터 라벨의 방향이 조립도와 같은지 확인합니다. 라벨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으면 서보모터가 반대로 동작하거나 각도가 맞지 않아 기어 파손 위험이 있습니다.
4) 로봇 동작이 이상할 때
- 조립된 로봇의 DC모터 축 방향이 조립도와 같은지 확인합니다. 모터 축이 잘못 조립되면 로봇 바퀴가 프레임에 걸려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.
- 케이블이 구동부에 걸리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. 케이블이 구동부에 걸려있는 경우, 로봇이 잘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- 조립도대로 정확히 조립했는지 확인합니다. 조립이 잘못된 경우, 로봇이 잘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- 3-PIN 케이블의 검은색 선이 X-키패드 핀 중 하얀 라인이 있는 쪽에 꽂혀있는지 확인합니다. (3-PIN 케이블을 반대로 삽입 시 합선으로 인해 CPU보드가 리셋됩니다.)
- 3-PIN 케이블의 검은색 선이 CPU보드 케이스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에 꽂혀있는지 확인합니다. (3-PIN 케이블을 반대로 삽입 시 합선으로 인해 CPU보드가 리셋됩니다.)



